[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2. 애덤스미스의 '국부론'을 읽고
"인간의 노동이 부를 낳는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열두번째 애덤스미스의 '국부론'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
[애덤스미스]는 누구인가?
애덤 스미스는 1723년 스코틀랜드의 커칼디에서 태어났습니다. 머리가 좋았고, 공부하기를 좋아해 14살의 나이에 글래스고대학교에 들어가 3년 동안 도덕철학의 허치슨, 수학의 심슨 등 당대 최고의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성장했습니다.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아 1740년 옥스퍼드대학교 발리올 컬러지에 장학생으로 입학해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 고전들을 섭렵했습니다.
1748년부터 글래스고대학교에서 논리학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그의 스승이었던 허치슨을 이어 도덕철학 교수를 시작하게 됩니다.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도덕감정론'을 썼습니다.
1764년 교수를 그만두고 버클리 공작 3세 헨리 스콧의 개인교수가 되어 유럽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튀르고, 볼테르 같은 유명인사들을 만나고 케네 등 중농주의 사상가들과 의견을 나눴습니다.
1766년 귀국 후 고향인 커칼디에서 '국부론'을 집필하기 시작하여 10년 후인 1776년에 드디어 출간을 했습니다.
초판이 6개월 만에 완판 될 만큼 '국부론'은 엄청난 인기를 얻었습니다. '국부론'의 인기에 힘입어 애덤 스미스는 당대 최고의 사상가로 존경받기 시작했습니다.
[국부론]의 주요 아이디어 정리
1. 자유 시장 경제
스미스는 자유 시장 경제가 최적의 경제 성과를 창출하는 시스템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자유 경쟁과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원의 효율적 분배와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다고 믿었습니다.
2. 자기 이익 추구와 공공 이익
스미스는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가 동시에 사회적 공공 이익을 창출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개인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경쟁하며 생산과 소비를 활발히 하면, 이는 자연스럽게 경제 성장과 번영을 가져온다고 보았습니다.
3. 분업과 전문화
스미스는 분업과 전문화를 강조했습니다.
각 개인이 자신의 장기에 맞는 일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면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로써 경제 활동이 발전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4. 자유 무역
스미스는 자유 무역을 지지했습니다.
다양한 국가들이 각자의 강점을 활용하여 생산하고 무역하는 것이 경제의 발전을 도모한다고 생각했습니다.
5. 정부 개입 제한
스미스는 정부의 경제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정부의 개입은 종종 시장의 원활한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정부의 역할은 주로 법과 질서를 유지하고 규제를 통해 시장의 공정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국부론]에서 우리가 현대에 적용해볼 내용
1. 시장 경제의 가치
애덤 스미스는 자유 시장 경제가 자연스럽게 자원의 효율적 분배와 경제 성장을 도모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경쟁과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개인의 이익과 사회적 이익이 조화롭게 맞물리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로써 시장 경제의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하게 됩니다.
2. 자기 이익과 공공 이익의 상관관계
스미스는 개인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때 동시에 사회적 공공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자유 경쟁이 경제의 효율성과 혁신을 촉진하며, 이는 곧 사회적 번영으로 이어진다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3. 분업과 전문화의 중요성
분업과 전문화는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원리입니다.
이는 개인들이 자신의 장기에 맞는 일에 전념하고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경제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교훈을 제공합니다.
4. 자유 무역의 이점
스미스는 자유 무역을 통해 국가들이 각자의 강점을 활용하여 경제적 혜택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경제적 교류와 협력이 국가들 간의 번영과 안정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줍니다.
5. 정부 개입의 균형
스미스는 정부의 역할을 주로 법과 질서 유지, 공공 재화 제공 및 시장 규제로 제한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이는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지나치게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6. 경제적 사고 방식의 중요성
스미스의 국부론은 경제적 사고 방식을 기르고,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생산성 향상에 대한 이해를 제공합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경제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 원리입니다.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은 현대경제학에 주요 개념들을 제공했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제상황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요즘 '돈 버는법'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조금 더 경제적인 식견을 가지시려 한다면 이 책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