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8. 베이컨의 '신논리학'을 읽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역논리학을 대체하기 위한 신기관"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열여덟번째 베이컨의 '신논리학'에 대하여 말해보겠습니다.
[베이컨]은 누구인가?
영국 경험주의 철학의 시조라고 불리는 베이컨은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유명한 주장을 펼친사람으로
신 중심의 중세철학을 인간 중심으로 바꿔놓은 사람입니다.
노련하고 정치 수완이 뛰어나 정치가로서 이름을 날리기도 했으나, 부정부패에 의해 결국 쫓겨나게 되었습니다.
전근대적 학문 전통과 단절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 확립과 인류의 복리 증진을 위해
관찰과 실험을 통한 경험적 지식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참된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 개개의 특수한 사실로부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법칙을 찾아내는 귀납법을 주장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수상록', '학문의 진보'등이 있습니다.
[신논리학]은 어떤 책인가?
과학적 방법론과 인식론에 대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한 책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경험과 관찰의 중요성
베이컨은 경험과 관찰을 과학적 지식의 출발점으로 강조했습니다.
그는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과학적 지식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 근거주의
베이컨은 근거주의(엠피리시즘)를 지지했습니다.
이는 지식을 경험과 객관적인 증거에 기반하여 구축해야 한다는 철학적 입장을 의미합니다.
그는 인간의 편견과 편견을 벗어나 진리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3. 실험과 관찰
베이컨은 실험을 통해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그는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간의 미덕 중 하나로 실용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것을 촉구했습니다.
4. 유용성의 추구
베이컨은 과학적 연구와 지식의 최종 목표는 인간의 편익과 생활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봤습니다.
이는 과학적 연구가 실용적인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5. 인간의 인식 한계 인식
베이컨은 인간의 인식이 제한되어 있고 편견과 오류에 취약하다고 인식했습니다.
따라서 정확하고 과학적인 지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방법론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신논리학]에서 우리가 배울 주요 포인트는?
1. 경험과 관찰의 중요성
신논리학은 지식과 진리를 경험과 관찰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우리가 현실을 탐구하고 이해하기 위해 미리 가정하거나 논리적 추론만을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경험과 관찰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지식을 형성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2. 근거주의와 과학적 방법
신논리학은 근거주의(엠피리시즘)를 강조합니다.
이는 지식을 경험적 근거와 증거에 기반하여 구축해야 한다는 철학적 원칙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과학적 방법의 핵심이며, 이론과 가설은 경험과 실험을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는 접근 방식을 강조합니다.
3. 인간의 제한된 인식력 인식
신논리학은 인간의 지적 능력이 제한되어 있고 편견과 오류에 노출되어 있다고 인식합니다.
이것은 지식을 구축하고 확장하기 위해 엄격한 방법론과 검증이 필요하며, 지식을 갱신하고 개선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비판적인 사고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4. 실용성과 적용 가능성
신논리학은 지식과 연구가 실용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즉, 이론과 연구는 인간의 삶과 사회에 직접적인 사용 가치가 있어야 하며, 사회와 인간의 편익과 발전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지합니다.
5. 과학적 혁신과 발전
신논리학의 원칙은 현대 과학의 발전과 혁신에 기여했습니다.
과학은 실증주의적 방법을 통해 경험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을 검증하고 발전시키는 데 큰 중요성을 둡니다.
베이컨의 '신논리학'은 과학적 방법론과 지식의 구축, 인식론 및 철학의 중요한 측면으로서 현대 사회와 과학의 발전에 계속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신논리학'을 통해 새로운 인식의 방법을 고민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2023.08.29 - [책 그리고 이야기]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5. 갈릴레이의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를 읽고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5. 갈릴레이의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를 읽고
" 현대 우주관에 대한 흥미로운 대화"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열다섯번째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어떤
lovebook2.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