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그리고 이야기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0.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읽고

by 여유롭게 읽고싶어 2023. 8. 10.
728x90
반응형

'방향을 전제한 자유'

160년 전에 쓰인 고전을 통해  오늘 우리가 가져가야 할 해법을 찾길 원합니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열 번째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에 대해서 말해보려 합니다.

 

[존 스튜어트 밀]은 누구인가?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밀은 1806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며 경제학자였던 제임스 밀의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아주 어릴 때부터 그에게 극도로 엄격한 조기 영재교육을 시켰습니다.

그 결과, 밀은 3살 때부터 그리스어를 배워서 8살에 헤로도토스와 플라톤의 저작들을 원어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8살부터는 라틴어를 배워서 오비디우스 같은 라틴어 고전들도 읽었다고 합니다.

12살부터는 스콜라 철학의 논리학을 공부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작들을 원어로 읽었습니다.

13살 때는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의 저작을 통해 정치경제학을 공부했고,

14살 때는 프랑스에서 1년을 지내면서, 몽펠리에 대학에서 화학, 논리학, 고등수학에 관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17세 때인 1823년에는 영국 동인도회사에 입사하여 아버지의 조수로 일했으며,

그 후 1858년까지 재직하며 연구와 저술 활동을 병행하였습니다.

20살 무렵, 그는 엄격한 공리주의적 이성 제일주의의 문제점을 깨달았고,

사색과 분석뿐만 아니라 수동적인 감수성이 능동적 능력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을 비판하고, 자본주의의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제한적인 정부 개입을 옹호하는 경제학 사상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사회주의 사상의 발달에 이바지하고, 자유주의 정치철학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였습니다. 

 

밀은 행동하는 사상가였다는 점에서 인상적입니다.

그는 사상에만 갇혀 있지 않았습니다.

1865년부터 1868년까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의 학장으로 재임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하원의원으로 활동했습니다.

1866년, 그는 하원의원으로 헌정사상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주장했고, 보통 선거권의 도입 같은 선거제도의 개혁을 촉구하였습니다.

또한 노동조합과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한 사회개혁과 아일랜드의 부담 경감 등도 주장하였습니다.

주요 저서로 '논리학 체계', '정치경제학 원리', '대의정치론', '공리주의', '자서전'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자유론'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자유론'의 핵심 내용]

자유론에서 밀은 두 가지 주요 형태의 자유를 강조합니다.

 

1. 양식적 자유 (Negative Liberty)

이는 개인이 다른 사람이나 정부의 간섭 없이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합니다.

즉, 어떠한 제한이나 규제 없이 개인의 행동과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2. 실질적 자유 (Positive Liberty)

이는 개인이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진정한 자아실현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자유는 교육, 기회, 자원에 대한 접근 등을 통해 실현됩니다.

 

밀은 '양식적 자유'를 중요하게 여겼지만, 그가 제시한 주장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는 '양식적 자유가 다른 개인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을 배제하는 한에서만 보호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유명한 "피해 주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의 자유는 존중되어야 한다"는 원칙과 같습니다.

 

또한, 밀은 의견의 다양성과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 행동의 다양성을 통해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만일 진리가 우리 중 어떤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라면, 우리 모두가 이익을 위해 그것을 찾아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며 개인의 의견 표출과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밀의 '자유론'은 현대 자유주의와 인권 이론의 중요한 기반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지며, 정치, 사회, 철학 분야에서 강한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728x90

 

 

 

['자유론'에서 우리의 삶에 적용해 볼 내용]

 

1. 양식적 자유와 개인의 권리

밀은 개인의 양식적 자유, 즉 정부나 사회의 불필요한 간섭을 배제하고 개인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권리를 강조했습니다.

이로써 우리는 다른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고 그들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를 행사해야 함을 배울 수 있습니다.

 

2. 피해 원칙과 타인의 권리

밀은 자유의 한계를 "피해 주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의 자유는 존중되어야 한다"는 원칙으로 정의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자유를 행사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에만 그것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동체 내에서의 상호 존중과 조화로운 공존을 강조합니다.

 

3. 다양성과 토론의 중요성

밀은 다양한 의견과 토론이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를 발전시키는 핵심 요소라고 믿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진리를 탐구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진보를 이룰 수 있다는 점을 배울 수 있습니다.

 

4. 실질적 자유와 기회의 균등

밀은 개인의 실질적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교육, 기회, 자원에 대한 공평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든 개인이 자신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5. 자아 발전과 삶의 풍요로움

밀은 개인이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개인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사회적으로 유익한 삶을 살아갈 때 얻을 수 있는 가치를 강조합니다.

 

밀의 '자유론'은 여전히 현대 사회와 정치 철학에서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에게 자유, 권리, 공동체와의 관계에 대하여 여러가지 생각할 화두를 던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시간을 가지고 여유롭게 읽어보길 진심으로 추천합니다.

 

 

2023.08.04 - [책 그리고 이야기]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6.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읽고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6.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읽고

"내 삶이 얼마나 비천했든 왕보다 더 많이 생각하고 더 잘 생각했다면 내 영혼의 역사는 왕의 그것보다 더 흥미로운 것이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여섯번째 루소의 '사회계약론'에

lovebook2.tistory.com

2023.08.05 - [책 그리고 이야기]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7.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읽고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7.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읽고

"보살핌의 정치, 그 실천방법을 제시하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일곱 번째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정약용(丁若鏞)의 '목민심서'는 한국의 고전 문학 중 하나

lovebook2.tistory.com

2023.08.06 - [책 그리고 이야기]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8.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읽고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8.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읽고

"동일한 속에 속한 모든 종들은 '공통조상'으로부터 내려온 것들임이 확실하다고 본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여덟번째,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 대하여 말해보겠습니다. 찰스

lovebook2.tistory.com

2023.08.07 - [책 그리고 이야기]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9.사마천의 '사기열전'을 읽고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9.사마천의 '사기열전'을 읽고

"인간과 권력에 대한 영원한 고전" '최고의 인간학 교과서'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아홉번째 사마천의 '사기열전'에 대하여 말해보겠습니다. 사마천(沙摩天)의 사기열전(四氣彖傳)은

lovebook2.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