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은 불길을 뿜고 어떤 무기도 소용없는 바다괴물, 두려움을 모르는 모든 거만한 것들의 왕'
'괴물 리바이어던에 국가를 비유해 국가유기체를 설명하고 있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열한 번째 토마스 홉스의 '리바이어던'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토마스 홉스] 그는 누구인가?
1588년 4월 5일 맘즈베리 근처의 웨스트포트에서 목사 토머스 홉스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홉스는 가난한 집안의 칠삭둥이였지만, 부유한 삼촌의 도움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열네 살의 나이에 옥스퍼드의 매 그 덜린 홀에서 5년간 공부하며 학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홉스는 캐번디시 가의 가정교사로 지내면서 그 집안의 후원으로 유럽 여행을 하며 폭넓은 학문 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1629년부터 1631년 사이에 프랑스를 여행하면서 유클리드의 기하학을 알게 되었고, 여기서 기하학의 논증적 방법을 자기 학문의 주요 방법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는 1608년부터 1610년 사이에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프랜시스 베이컨과 교류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그는 심신 이원론을 주장한 데카르트와 갈등을 빚었고, 보일의 실험주의를 비판했습니다.
또 보일의 진공 실험을 비난하며 진공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쏟기도 했는데, 이 일로 결국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 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절대군주제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그는 당시 영국에서 장기의회가 결성되자, 프랑스로 도피 생활을 떠나기도 했습니다.
그는 90세의 나이에도 저서를 출판할 만큼 만년에도 왕성한 학문 활동을 했습니다.
1679년 12월 초순, 그는 대학을 졸업한 후 망명 기를 제외하고는 평생 동안 의지했던 캐번디시 가의 한 저택에서 9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리바이어던]의 핵심 내용은?
'리바이어던'은 1651년에 발표된 홉스의 대표 작품으로 정치철학과 사회계약론에 대한 중요한 책입니다.
핵심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 상태와 인간 본성
홉스는 사회 계약론을 통해 인간의 자연 상태를 논의합니다.
그는 자연 상태에서 인간들이 자유롭지만 경쟁과 불확실성 때문에 불편한 상태에 처해있다고 주장합니다.
2. 사회 계약과 평등
홉스는 사회 계약을 통해 인간들이 정부를 만들어 사회적 질서와 안전을 확보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계약에 따르면, 인간들은 일종의 권력을 중앙 집권적인 정부에 위임하고 그에 대한 본인들의 권리를 포기함으로써 평화로운 사회를 조성한다는 주장을 제시합니다.
3. 리바이어던의 의미
'리바이어던'이라는 제목은 큰 권력이나 국가를 상징하는 바다 괴물 '리바이어던'에서 따왔습니다.
홉스는 중앙집권적인 국가나 정부를 이 괴물과 비유하여, 그 권력과 통제가 인간들의 본성을 통제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4. 절대 국가와 사회 계약
홉스는 국가를 절대 국가로서 설명하며, 이 국가는 군림자 혹은 정부에 모든 권력이 집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홉스는 이 권력 집중을 통해 사회적인 불안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홉스의 이론은 논란이 많고 다양한 해석을 받아왔으며, 다른 철학자들의 반론과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리바이어던'안에는 우리의 삶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철학적 가치들이 많습니다.
주요 가치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리바이어던]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철학적 가치들은?
1. 사회 계약과 권력 분리의 중요성
홉스는 사회 계약을 통해 인간들이 정부에 권력을 위임하고 본인들의 권리를 포기함으로써 평화로운 사회를 조성하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는 권력 분리와 정부의 존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현대 민주주의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2. 인간 본성과 사회적 통제
홉스는 인간들이 자연 상태에서 자유롭지만 자기 이익을 추구하며 경쟁하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이 본성은 사회적 통제 없이는 폭력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중앙 집권적인 정부의 필요성을 주장합니다.
3. 정부의 역할과 균형
홉스는 중앙 집권적인 정부가 사회적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며 개인들의 잘못된 본성을 통제하는 역할을 가진다고 봅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권력이나 통제 역시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으므로, 정부의 권력은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4. 평화와 안전을 위한 희생
홉스는 사회 계약을 통해 개인들이 일부 자유와 권리를 포기하여 전체적으로 안전하고 안정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이는 개인의 이익보다는 집단적인 평화와 안전을 우선시하는 철학을 나타냅니다.
5. 정치 철학의 다양성
'리바이어던'은 정치 철학 분야에서 한 저작으로서, 다양한 정치 철학적 견해와 사고방식을 나타냅니다.
홉스의 이론은 논란이 많았고 여러 철학자들의 비판과 반론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논의와 대립을 통해 정치 철학 분야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홉스의 '리바이어던'은 사회계약론, 권력분리, 국가의 역할 등 생각할 거리를 많이 주는 책이었습니다.
홉스의 이론들은 여러 쟁점이 존재하기에, 그 부분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명확한 입장을 가지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올여름 시간을 가지고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합니다.
2023.08.05 - [책 그리고 이야기]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7.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읽고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7.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읽고
"보살핌의 정치, 그 실천방법을 제시하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일곱 번째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정약용(丁若鏞)의 '목민심서'는 한국의 고전 문학 중 하나
lovebook2.tistory.com
2023.08.06 - [책 그리고 이야기]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8.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읽고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8.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읽고
"동일한 속에 속한 모든 종들은 '공통조상'으로부터 내려온 것들임이 확실하다고 본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여덟번째,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 대하여 말해보겠습니다. 찰스
lovebook2.tistory.com
'책 그리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리뷰] '바다가 들리는 편의점' -마치다 소노코- (57) | 2023.08.14 |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2. 애덤스미스의 '국부론'을 읽고 (33) | 2023.08.13 |
[책 리뷰]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카이 버드, 마틴 셔윈- (73) | 2023.08.10 |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0.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읽고 (50) | 2023.08.10 |
[신작리뷰] '구의 증명' -최진영- (49) | 202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