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그리고 이야기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14.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을 읽고

by 여유롭게 읽고싶어 2023. 8. 25.
728x90
반응형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오늘은 [서울대선정 인문고전 60선] 열네번째로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에 대하여 말해보겠습니다.

 

[데카르트]는 누구인가?

1596년 프랑스 투렌의 귀족가문에서 태어난 데카르트는 10살부터 예수회 교단의 학교에서 스콜라 철학을 기반으로 한 고전, 수학 등을 공부하고 프와티에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습니다. 

중세 기독교적 교육에 회의를 느낀 데카르트는 법률가가 되는 것을 포기하고, 보편적 학문의 진리를 찾기위해 여러 나라를 여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유럽을 휩쓴 30년 전쟁기간동안 네덜란드와 독일 군대에서 전쟁을 거쳤으며, 1619년 독일 남부의 울름에서 철학적 계시를 받는 거 같은 독특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삶을 지향하게 되었습니다.

1620년부터 사상적으로 자유로운 네덜란드에서 자신만의 철학 세계를 구축하면서 외부와 격리된 생활을 해나갔습니다. 

그 후 20여년간 수학, 물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성과를 내며 여러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1637년에 발표한 '방법서설'에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희대의 명제를 제시함으로써 유럽에서 높은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 명제는 기독교적 신앙과 이성을 구분하는 근대 철학의 시발점이 된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후 데카르트에게 무신론자라는 비난이 쏟아졌고, 1649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의 초청으로 스톡홀름으로 건너가 여왕을 위해 새벽 철학강의를 했으며, 북유럽의 차가운 기후에 의해 폐렴에 걸려 1650년에 사망했습니다.

 

[데카르트]의 '방법사설'은 어떤 책인가?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은 그의 철학적인 접근법과 방법론을 설명한 것을 말합니다.

방법서설은 그의 대표작인 '명상'의 첫 부분에 나타나며, 그가 진리를 찾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는지를 제시합니다.

이 방법론은 현대 철학과 과학의 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 중 하나입니다.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단계로 구성됩니다.

 

1. 의심의 방법 (Method of Doubt)

데카르트는 의심의 과정을 통해 모든 종류의 지식을 검토하고 의심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사실이나 진리를 찾기 위해서는 기존의 믿음과 관념을 모두 의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의심할 수 없는 것만을 남겨두고자 했습니다.

 

2. 분해 (Analysis)

데카르트는 의심의 과정을 통해 거부한 모든 믿음을 분해하고, 이전에 받아들였던 사상과 관념들을 그들의 구성 성분까지 나누어보려 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함으로써 어떤 것이 진리인지를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3. 클리어 앤드 디스팅트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

 데카르트는 분석을 통해 얻은 명확하고 분명한 인식들, 즉 'clear and distinct'한 아이디어들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는 이러한 명확하게 인식된 아이디어들이 참된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진리를 구분하고자 했습니다.

 

4. 복원 (Synthesis)

데카르트는 클리어 앤드 디스팅트한 인식들을 기반으로 진리를 다시 구축하려 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인식의 기초를 바탕으로 철학 체계를 재구축하고, 근본적인 진리를 발견하고자 했습니다.

 

[방법서설]에서 우리가 생각해 볼 주요 포인트는?

1. 의심의 중요성

데카르트는 모든 지식을 의심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흔히 간과되는 것들을 의심하고, 질문을 던지며 깊게 고민하는 습관을 키우는 것은 중요합니다.

우리는 무엇을 믿고 있는지, 왜 그것을 믿는지에 대한 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2. 분석과 합성

데카르트의 방법은 분석과 합성의 과정을 강조합니다.

복잡한 개념이나 문제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다음 이러한 부분을 다시 합성하여 전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복잡한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3. 명확한 사고

데카르트는 명확하고 분명한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우리가 복잡한 개념이나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하려면 간결하고 명확한 방식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명확한 사고는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오해나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진리의 탐구

데카르트의 방법은 진리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지침을 제시합니다.

지식을 탐구하고 발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믿음을 계속해서 검토하고, 분석하며, 정리해야 합니다.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5. 철저한 의심과 현대적 접근

데카르트의 방법은 현대적인 과학적 접근법의 출발점이기도 합니다.

과학자들은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며, 그 과정에서 불확실한 것들을 계속해서 의심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지식을 발전시킵니다.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은 철학적 이론 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가치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방법서설'을 통해 충분한 사고의 과정을 경험해보고, 

내가 '존재'하는 의미를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